본문 바로가기
별별랭킹

[별별 랭킹] 실패 박물관(Museum of Failure) 전시품 목록 10가지 / 스웨덴 헬싱보리

by 플랜테저넷 2017. 7. 2.

실패작 박물관(Museum of Failure)이 설립되어 화제입니다. 자칭 혁신 연구원(수집가)인 사무엘 웨스트(Samuel West)는 자신이 수집한 51가지의 실패작을 스웨덴 헬싱보리 박물관에 진시했습니다.

 

출처 : CNN

 

웨스트는 “유명 대기업도 실패합니다. 중요한 것은 더 큰 실패를 겪지 않도록 실패를 받아들이는 기업 문화를 만드는 것”이라는 교훈을 주려고 박물관을 오픈하게 되었다고 설명합니다. 웨스트는 실패작을 수집하는데 꽤 어려움을 겪었다고 토로합니다. 생산이 중단된 제품들이기 때문에 수집하는데 2배 이상 노력이 필요했던 것입니다.

 

1. 노키아 스마트폰 겸 게임기 엔게이지(N-Gage)

 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판매 기간은 2003년부터 2005년까지. 노키아는 이 단말기를 닌텐도 게임 보이의 경쟁작이 될 것으로 기대하고 출시했다고 합니다. 이상한 디자인과 버튼 레이아웃 때문에 출시 직후 바로 비판에 직면했습니다. 2004년 노키아는 디자인을 쇄신한 엔 게이지(N-Gage) QD로 반격을 시도했지만 결국 수백만대의 판매고만 기록한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습니다.

 

2. 휴대용 단말기 애플 뉴튼(Apple Newton)

 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판매 기간은 1993년~1998년. 필기 인식 소프트웨어가 불편하고 가격이 비싸서 시장에서 퇴출됩니다. 애플 뉴튼은 699달러에 출시되었는데, 현재 물가를 감안한다면 1178달러에 이르는 가격입니다. 1990년대 중반 병원에 도입되었지만, 팜파일럿(PalmPilot)에 밀려 자취를 감춥니다.

 

 

3. 바코드 리더 큐캣(CueCat)

출처 : 아마존닷컴

 

2000년 발매된 바코드 리더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사용법조차 알지 못하고 사라진 제품입니다. 이 제품은 URL을 입력하는 대신 잡지책이나 신문의 URL을 스캔해 웹사이트 직접 접속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.

 

4. 트위터 전용 단말기 트위터피크(TwitterPeek)

출처 : 아마존닷컴

 

2009년 출시되었으며 가격은 200달러, 트위터 접속 전용 단말기지만 실패하고 맙니다. 개발사인 피크는 2008년 이메일 전용 단말기 피크를 출시하면서 데뷔했습니다.

 

5. 코닥(Kodak) DC40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 

1995년 발매 당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제품으로 평가되었습니다. 하지만 그것이 실패작이라고 생각되는 이유는 코닥이 결국 2012년 파산했기 때문입니다.

 

6.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소니 베타맥스(Betamax)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소니 베타맥스는 1970년대 뛰어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(VCR)로 평가받습니다. 다른 제품보다 빠르고 고화질이었기 때문입니다. 하지만 소니가 비디오 대여 시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실패하면서 실패했습니다.

일본 빅터(JVC)가 시장점유율을 급속히 확대하면서 곧 베타 대 VHS의 표준 전쟁은 막을 내립니다. 하지만 소니는 2002년까지 베타 대응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계속 생산했고, 베타 비디오 카세트 출하를 종료한 것은 2016년의 일입니다.

 

 

7. 미국 비디오 대여업체 블록버스터(Blockbuster)

 

 

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비디오 전송 서비스가 확산되면서 미국 비디오 대여 체인 기업 블록버스터는 경영 악화에 시달렸고 결국 2010년 도산했습니다.

 

 

8. Coke II(발매 당시 New Coke)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1984년 초 기존 코카콜라를 대신해 발매되었습니다. 몇 개월도 지나지 않아 소비자는 기존 콜라의 재발매를 요청합니다. 뉴 코크는 결국 2002년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. 뉴 코크는 실패작이라는 평가를 받았지만, 코카콜라 매출은 1985년 말에 펩시를 추월했습니다. 뉴 코크가 결과적으로 플러스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
 

9. Coke BlaK은 분명한 실패작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커피 맛 콜라로 2006년 발매되었지만 이상한 맛과 고카페인 때문에 악평을 받았고 2008년에 단종되었습니다.

 

10. 할리 데이비슨 향수 핫 로드(Hot Road)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대형 오토바이 제조사인 할리 데이비슨은 1996년 자사 브랜드의 향수를 출시합니다. 핫 로드(Hot Road)로 명명된 향수는 담배를 연상시키는 우디향이 났습니다.

 

11. 얼굴 작아지게 하는 마스크 리주버니크(Rejuvenique)

 

출처 : 위키페디아

 

장착한 사람의 얼굴에 미량의 전기 충격을 가하는 제품입니다. 얼굴에 전기를 가해서 근육에 긴장을 주어 피부를 좋게하는 것입니다. 1999년 발매되었지만 그다지 좋은 평가를 얻지는 못했습니다.

 

반응형